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복궁 영추문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white,#1f2023><tablewidth=1300px> ||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현무문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bgcolor=lightgray,#191919> || || ||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옥련정
벽화실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청와대 녹지원춘안당융문당
칠궁양정재수궁(구 관저터)융무당태화궁
지희실경농재(관풍루)대유헌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청와대 춘추관
마장관가문희맹공신단
금화문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금위군직소춘화문춘생문
신무문수문계무문광무문춘도문수문
태원전수문장청팔우정 집옥재 협길당각감청건청궁 관문각서녹산
남여고 육우정
직처소어구동녹산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선원전 경안당
종각가회정 보현당장고통화당순화궁 외소주방
순화궁 내소주방
영선문진전 소주방진전 생물방화락당나인처소
회안전문경전장고
숙설소
향원정
전기등소
만화당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대향당
정훈당
나인처소
함화당 집경당영훈당만경전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원역처소빈궁 수랏간다경합건복합
원역처소
제관방
흥복전중궁전
침방,수방
대왕대비전
침방,수방
제수합영보당벽월당(상궁처소)
하향정원역처소(접견소)장방(기무처)아미산자미당자경전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국별장직소함원전함홍각건순각원길헌인지당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벽하당(상궁처소)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경회루흠경각교태전임향당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계응당(상궁처소)
양의문복회당(대전 생물방)보월당(상궁처소)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무겸직소응지당강녕전연길당
북위장직소경성전연생전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수문파수각향오문
영추문수문장청내각(규장각)검서청(규장각)대전장방(내시부)습회당협오당장원당천추전사정전만춘전자선당비현각장방 삼처관리소
수문장청
건춘문
초관직소장무관직소입심억석(내의원)주원(사옹원)수정전사정문오상방원역처소세자궁 수랏간등촉방장방
훈국군번직소침의청(내의원)약방(내의원)내반원(내시부)수정문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ㅏ
통장청문기수청춘방별감방초관처소
서소위장직소의약청(내의원)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대전 수랏간영화문계조당계방훈국군번처소
누국당후(승정원)정원(승정원)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선전관청빈청숭양문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별군직청
춘방책고대청
주차장
상의원 면복각
영제교
신당덕응방북마랑흥례문
전사청국립고궁박물관
연고 내사복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용성문어도협생문계방
행각
오위도총부
우마랑좌마랑내구연지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서소부장청
남소위장청
동소부장청
동소위장청
견마배청남마랑군사방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충장장청
수장장청
서십자각수문광화문
(월대)
수문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경복궁 영추문
景福宮 迎秋門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1395년 (창건) / 1867년 (중건) / 1975년 (복원)

영추문[1]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구조
5. 여담



1. 개요[편집]


경복궁의 서문(西門). 주로 문무백관들이 이용했다.

고종 중건 당시 현판 글씨는 허계#(許棨, 1798 ~ 1866)가, 현재 글씨는 서예가 김충현(金忠顯. 1921 ~ 2006)이# 썼다.

2. 이름[편집]


‘영추’는 ‘가을(秋)을 맞아(迎) 서쪽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다. 오행에서 서쪽은 가을을 나타내므로, 경복궁의 서쪽 문에 ‘가을 추(秋)’ 자를 넣은 것이다.#

임진왜란 전에는 '연추문(延秋門)'으로도 불렸다. 송강 정철은 가사 《관동별곡》에서 '연추문'으로 적었다.#


3. 역사[편집]


1395년(태조 4년)에 조선 정부에서 경복궁을 창건할 때 건립했으며# 1427년(세종 9년) 6월에 수리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 1865년(고종 2년)에 흥선대원군이 중건했다.

일제강점기일제가 영추문 바로 앞에 전차 선로를 부설했다. 선로 위를 오가는 전차의 진동 때문에 1926년 4월 27일에 석축이 무너졌고#,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문 전체가 헐렸다.

복원 전 평삼문으로 있던 영추문
광복 이후 한동안 철거된 자리에 예전처럼 성문이 아닌 3칸짜리 평대문이 놓여있었다.

영추문 복원 준공을 다룬 〈[[대한뉴스|{{{#gold 대한뉴스}}}]]〉
이후 1975년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다만, 당시 경복궁에 주둔해있던 군부대를 피하기 위해 북쪽으로 50m 이전했고, 목조가 아닌 1968년에 복원한 광화문처럼 철근 콘크리트로 지었다.[2] 이후 다시 원래대로 경복궁 2차 복원 공사 3단계(2026~2034)에 복원될 예정이다.#


4. 구조[편집]



  • 아치을 낸 석축 위에 단층짜리 문루(門樓)를 올렸다. 문루 4면의 가장자리 앞에는 벽돌로 쌓은 통여장을 두었다.#

  • 통여장의 바로 밑 부분 석축에 석누조 2개를 달았다. 이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전부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으며, 추녀 끝에는 토수를 끼웠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공포는 이익공이다.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놓았으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문루 내부를 전부 한 공간으로 텄다. 가운데칸 천장은 구조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이며 가장자리 쪽 들보 위는 우물반자로 마감했다. 문루의 바닥은 전부 전돌을 깔았으나 가운데 칸만 마루를 깔았다.

  • 아치은 겉에만 아치를 구성하고 내부의 천장은 반자로 덮어 놓은 모습이다. 반자에는 백호를 그려놓았다. 그러나 고종 때에는 기린 2마리를 그려두었다고 한다.# 문짝은 붉은색 나무이며 문짝 위에는 문둔테를 두었다.#

  • 경복궁 안쪽 부분의 석축 양쪽에 문루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두었다. 계단에 난간은 설치하지 않았다. 계단과 문루 사이의 통여장 가운데에는 전돌을 쌓은 을 두었다.#

  • 원래 건춘문과는 축이 살짝 틀어져있었다. 그러나 상술했듯 1975년 영추문 복원 공사 때 북쪽으로 50m를 옮겨 지었기 때문에 현재는 꽤 많이 틀어져있다.#


5. 여담[편집]


  •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1894년(고종 31년) 7월에 일본군경복궁을 점령할 때 영추문을 부수고 들어왔다. 물론 다른 문들에서도 전투가 벌어졌지만, 일본군은 특히 침전과 가까운 영추문에 공격을 집중시켰다. 자세한 것은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문서 참조.

  • 1896년(건양 원년) 2월에 고종러시아 공사관으로 갈 때 영추문을 통해 경복궁을 빠져나갔다.[3]

영추문 개방을 다룬 〈JTBC 뉴스
복원 후 정부에서는 한동안 닫아놓았다가 2018년 12월 6일에 일반에 개방했다. 그래서 영추문으로 관람객의 출입이 가능하다. 경복궁에서 서촌으로, 또는 그 반대로 가려면 영추문을 이용하면 훨씬 가깝게 갈 수 있으니 참조하자.

  • 2019년에 서울역사편찬원에서 일본에 있던 《경복궁 영건일기》를 분석한 결과 영추문 현판이 검은 바탕, 흰색 글씨가 아닌 반대였다는 것을 밝혀냈다.#

  • 중건 당시의 현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석축이 무너진 영추문을 해체할 당시 문루로 통하는 작은 벽돌문이 경복궁 자경전의 동쪽 담장으로 이전되어 보존되어 왔음이 밝혀졌다.로드뷰 문화재청은 영추문 소문(小門)이 행방불명됐고 영추문 부재는 남아 있지 않다고 주장해 왔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콘크리트 광화문은 2006년 철거. 2010년에 옛 방식대로 목조로 복원했다.[3] 신무문이었다고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